한 해가 지나갔다.

 

2024년에는 어떤 이벤트들이 있었는지 회고해보려 한다.

 

1.  커리어

올해 3월,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블로그에 포스팅이 뜸해진 이유도 이것 때문이었다. iOS 개발자는 아니지만, 더 이상 공백기를 이어가기엔 부담이 커지고 있었고, 운 좋게 괜찮은 조건의 기회가 주어져 소개를 통해 입사하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동안의 취업 활동 중 가장 좋은 처우를 제안받았다.

 

그렇게 임베디드 리눅스 개발 포지션으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임베디드 개발자로서 9개월간 근무하면서 느낀 점은, 능력 대비 처우가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제조업 기반의 환경은 IT 시장에 비해 최신 기술 문화에 대한 도입 속도가 느리고, 다소 보수적이라는 점도 체감했다.

 

입사 후 첫 업무는 팀에서 방치된 워크스테이션에 GitGitLab을 설치하는 작업이었다. 기존 리눅스를 재설치하고, SSH 데몬과 Git을 설정하는 등의 개발 환경 작업을 맡았다. 신입에게 이런 업무를 맡기는 것이 의아했지만, 회사가 그동안 외주 개발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이해가 되었다.

 

그 후 외주 개발된 작업물을 전부 Git Mirror Clone을 통해 가져왔고, 2025년부터는 이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입사 시점이 좋았다고 느꼈던 이유 중 하나는, 혼자서 Git을 다루는 방법을 익히기에 최적의 환경이었다는 점이다. 팀에서는 그동안 이슈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러한 불편함 해소를 요청받아 GitLab의 이슈 관리 기능에 대해 하나씩 알아가며 적용해 보았고 팀에 제안하였다. 

 

요즘은 GitLab에 내장된 Wiki 페이지를 활용해, 9개월 동안 파악한 프로젝트 내용을 요약 정리하며 기술 문서를 작성하고 있다.

 

iOS 개발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

 

iOS 개발자로 커리어를 전환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항상 하고 있다. 기술 스택이 다르다는 점이 걸림돌이 될 것 같아 걱정되지만, 현재 내린 결론은 간단하다. 신입의 관점에서 보면, 어디에서든 배울 것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경험은 언젠가 분명 큰 자산이 될 것이라 믿는다.

 

2. 마라톤

취업 준비와 동시에 시작했던 운동이 달리기였다.

취업 후에 마라톤에 도전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동네에서 조용히 달리기를 이어갔다. 기간이 길긴 했지만 올해, 드디어 두 번의 10km 마라톤을 완주했다.

날이 추울 때만 뛰어서 꽤나 힘들었다. 2025년에는 따듯한 날씨에 참가해보고 싶다.

 

3. 운전

면허는 20살이 되자마자 취득했지만, 대학생 신분으로 차를 운전할 여건이 되지 않아 지갑 속에 고이 모셔두기만 했다. 그러다 회사가 대중교통으로는 출퇴근이 불편한 곳에 위치한 데다, 어머니께서 새 차를 구매하시면서 낡은 차 한 대가 남아 출퇴근용으로 운전을 시작하게 됐다.

 

집과 회사가 가까워 출퇴근 경로는 금세 익숙해졌지만, 아직도 초행길에서는 긴장감이 사라지지 않아 출퇴근 외에는 차를 거의 타지 않는다. 의외로 손세차가 재미있어서 요즘은 세차 관련 유튜브 영상에 푹 빠져 있다.

2025년에는..

다가오는 한 해에는 더 많은 것을 이루고, 지금의 나에게도 떳떳한 사람이 되고 싶다. 이 글을 읽는 분들 역시 계획한 일을 잘 이루고, 행복한 일들로 가득한 한 해를 보내시길 진심으로 바란다.

'review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tCast 배포 회고  (1) 2023.12.30

+ Recent posts